바이크도 하고 블로깅도 하는 CEO
CEO들은 대체로 큰 위험이 따르는 일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스카이 다이빙, 암벽 점핑, 모터사이클 레이싱, 그리고 블로깅. (via gatorlog) 바이크를 좋아하고 블로깅하는 CEO를 알고 있어요. 온네트의 홍성주 대표.
CEO들은 대체로 큰 위험이 따르는 일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스카이 다이빙, 암벽 점핑, 모터사이클 레이싱, 그리고 블로깅. (via gatorlog) 바이크를 좋아하고 블로깅하는 CEO를 알고 있어요. 온네트의 홍성주 대표.
인트라넷,사내 서비스에서 오타 찾아 알려주기.
identity 단어의 발음은 아이덴터티에 가깝지만 아이덴티티로 쓰고 읽는다.
뭔가를 질문하려는 사람에게 필요한 질문 설명서.
호찬옹이 오랫만에 글을 SK컴즈 온라인 사보에 쓰셨다. “소비노동, 이마트, 웹2.0” -hochan- 사용자들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서비스라고 해도 정보의 정제도와 신뢰도는 기술적, 기획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참여하지 않더라도 쓸만한 서비스여야 하고, 원하는 정보와 사람을 찾는 것까지 사용자의 노동과 시간에 맡겨둘 수는 없는 노릇이다.
블로그가 됐건 뭐가 됐건 웹서버에 접근한다는 것은 자신의 아이피 로그를 남기게 됩니다. 기관,학교,기업체에서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속한 조직의 이름을 비록 말로는 밝히지 않아도 이마에 써붙이고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불법적이 아니더라도 사이트 운영자에게 비우호적인 행동을 할 경우에는 “조직을 밝히지 않았다” 는 사실에 “그래도 나는 너의 조직을 알고 있다”와 합쳐져서 뭔가 음험하고 짜증나는 행동을… Read More »
글:사람 ≒ 제품:회사 ≒ BI:CI
노회찬 의원 백년가약 맺어준 책 -북데일리- “어쩌면 이렇게 책과 사람이 똑같을 수 있는가? 나는 그때 사상과 존재가 일치하는 드문 예를 보았다.(…)” 그러나 대부분 글과 그 사람의 인격은 서로 별개다. 인격이 형편없는데 글로 포장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보여주고 싶은 일부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말이다.
A가 B가 논쟁(또는 싸움)을 한다. B에 반대하는(또는 B를 싫어하는) 사람이 A에게 와서 익명으로 “정말 B는 그렇더군요”라고 코멘트를 남긴다.
“나를 잊지 마세요” -2z- “먹이를 주지 마세요.” -블루문- “다운받지 마세요.” -떡이떡이- “블로그만 보고 오해하지 마세요” -cha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