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블로그와 도구

개그맨이 유행어를 밀듯…

By | 2005-10-17

개그맨이 자신이 만든 유행어를 계속 사용해서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게 하려는 것처럼 헤럴드경제는 “BLOG 세대 = Be a Liberal&Open Generation 세대“라는 말을 밀고 있는 듯하다. 지난 여름 결국 답장은 받지 못했던, 이 신조어를 사용했던 기자에게 보냈던 메일로 이 용어에 대한 의구심을 대신한다.

다음블로그 늘 링크 헷갈림.

By | 2005-10-15

다음블로그에서는 기능개선이나 이벤트 등의 공지를 올리는 운영자 블로그를 아!아!블로그라는 이름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글 본문에 사용하는 글꼴의 색깔과 밑줄때문에 이것이 클릭해야 할 링크인지 아닌지를 늘 헷갈린다. [혹시나 링크가 아닌지 마우스로 존장 부비부비 해본다. -,.-]

Yahoo!뉴스에서 블로그 검색 시작

By | 2005-10-11

구글이 블로그검색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Yahoo!뉴스 검색에도 블로그 검색이 추가되었다. –PaidContent.org– (via Topix.net) 뉴스에서 찾은 검색결과를 보여주고 블로그에서 찾은 검색결과는 오른쪽에 상자속에 따로 보여주고 있다.

MS가 만든 RSS 아이콘

By | 2005-10-10

MS의 RSS팀에서 새로운 RSS아이콘 몇종을 선보이며 의견을 묻고 있다. Dave Winer는 “아~ 놔~ 걍 XML이라고 쓰여진 주황색 아이콘 쓰셈“이라고 말했고 MS 홍보맨 Scobleizer는 영어로 된 텍스트말고 아이콘을 쓰면 다들 알아먹기 좀 좋냐고 대꾸했다. (4번째는 파이어폭스의 라이브북마크 아이콘과 비슷하다.)

flock 스크린샷

By | 2005-10-08

social browser를 표방한 flock의 스크린샷이 공개되었다. (via digg) flock의 로고를 만든 사람은 주황색 xml아이콘()을 만들었던 바로 그 Bryan bell이라고 한다.

Yahoo!의 RSS백서

By | 2005-10-08

WhitePaper : RSS – Crossing into the Mainstream(PDF파일, 505KB, 12페이지) (via scripting news) (1장짜리 요약(PDF파일, 289KB)) 참고 : 일본 인터넷 백서(통계자료)

구글 (RSS)리더

By | 2005-10-08

웹기반 구글 (RSS)리더가 나왔다. (via google blog, tech.memeorandum) 직접 RSS 주소를 입력하거나 OPML을 입력하거나 아니면 관심있는 주제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RSS피드를 찾아준다. 아직까지 구독목록에서 한글제목이 안보이는 경우가 있다. 태우’s log를 추가했더니 목록에서는 “‘s log”라고 나온다. ㅠㅠ 한글label도 붙일 수 없고 동작이 불안해서 당장 쓰기엔 … [업데이트]#1@08:25 지금 쓰고 있는 sage의 OPML을 입력시키려다가 실패했다. [업데이트]#2@08:30 Google Reader… Read More »

다음의 다음.

By | 2005-10-06

“다음”이 시간적으로는 나중이지만 블로그나 게시판 등에서는 과거의 글을 가리키는데 쓴다. 아마 공간적으로도 뒷쪽이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웹에서 계속 새로운 글이 앞쪽에, 윗쪽에 써지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뭐 딱히 틀렸다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음블로그에도 현재쪽으로 오는 것을 “이전”, 과거쪽으로 가는 것을 “다음”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개별글을 읽고 그 글보다 먼저 쓰여진 글을 뜻할 때 “다음글”이라고 해야… Read More »

다음RSS넷 초기화면

By | 2005-10-03

웹에서 RSS를 읽을 수 있는 다음 RSS넷 (http://rss.daum.net)은 로그인하지 않으면 초기화면을 볼 수 없다. 그것이 내가 RSS리더기에 대한 글을 쓸 때 다음RSS넷을 언급하지 않는 이유이다. 왜냐하면 내 글을 읽는 사람은 더 많은 정보를 얻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링크를 클릭하지만 RSS넷을 방문했을때는 다음커뮤니케이션즈의 회원이어야 하며, 또한 로그인을 하지 않고서는 초기화면은 커녕 무슨 서비스인지조차도 알 수 없도록… Read More »